교육/훈련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자격시험 논란? 문제점과 해결책 모색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비상대책위원회의 대응책 제시

반려동물뉴스(CABN)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자격시험의 실기평가가 최근 논란의 중심에 섰다.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비상대책위원회는 현재 전문 훈련사 및 동종업계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이번 파일럿테스트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은 전문가들과 훈련사들 사이에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해 TFT팀 구성에서도 현직 훈련사가 참여할 수 있는 인원에서도 수의사, 동물보호 인원에 비해 배정된 인원이 적었다는 의견도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의 반려동물 행동지도사에 대한 실질적인 현장 경험과 필요한 실질적인 내용들이 배제되었다는 일부 의견도 있었다. 이러한 갈등속에서도 지난 22일 실시한 모의시험인 파일럿 테스트에서는 아주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는 의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는 4가지 관점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첫 번째로 실기시험장의 크기가 축소되어 있어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 평가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 부족으로 인해 개의 행동 반경을 평가하기 어렵고 훈련자와 개 간의 상호작용 역시 제대로 평가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두 번째로 난이도 차이와 과락 미반영으로 인해 변별력이 부재하다. 시험에서 난이도에 따른 배점 차이가 없어 실력 평가가 어려워지고 과락을 반영하지 않아 합격 기준의 일관성이 부재하게 된다. 실제 모의시험에 참가한 반려견훈련사는 해당 시험에 대해서 변별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세 번째로 지나치게 낮은 난도로 인해 전문성 검증이 어렵다. 시험의 난이도가 너무 낮아 전문성을 평가하기 어려워졌다. 이것은 반려동물 훈련의 효율성 저하와 안전 문제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반려동물 행동지도사는 펫티켓을 준수하는 간단한 시험이 아닌 전문가로서 현장의 경험과 노하우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었다.

 

네 번째로 태블릿을 활용한 채점 과정에서도 일관성과 형평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심사위원에 대한 경력과 경험에 대한 측정 및 교육 등 체계적으로 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의견이다. 심사위원에 대해서도 대외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의 경력 및 학력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또한, 심사위원을 위한 교육과 체계적인 기준을 수립하여 명확하게 국가자격증을 시험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어야 한다. 채점 과정에서 주관적인 의견이 반영되거나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없는 채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현재 반려동물행동지도사 비상대책위원회는 "반려동물 행동지도사 자격시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직 훈련사 중심의 전담팀을 구성하여 전문적인 기능평가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안전과 효율성을 고려한 시험 기준을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시험 방식을 조정하고 적절한 공간과 장비를 확보하여 시험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의견을 모르고 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TFT를 통하여 시험 방식 재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며 자격시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험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규 반려견 훈련사는 “세계적으로 최상위 수준의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시험을 만들어내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동물복지를 향상할 수 있는 실질적 기능 수준을 갖춘 자격시험을 만드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그것은 농림부 주관으로 TF를 결성하고 기존 6개월 이상 논의를 해서 마련되었던 실기시험 방식을 변형 없이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우리 반려견 지도사들은 이를 촉구하기 위해 연서로써 본 성명서를 제출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반려동물행동지도사 자격시험을 둘러싼 논란은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훈련사들의 불만과 논의를 거쳐야 할 문제점들이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공론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투명하고 공정한 시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가 된다.

종합 뉴스

더보기

많이본기사